HOME > Projects >
완료 신소재 성형 공정의 CAE을 위한 열 및 유동에 관한 연구
2005.08.18 15:05
주관기관 | |
---|---|
시작일자 | |
종료일자 |
한국과학재단1992.09 ~ 1995.08Abstract
초소성 재료의 성형은 낮은 유동 응력하에서 보통 200%가 넘는 연신율을 갖고 굽힘 변형도 잘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기하학적 비선형성이 심한 공정이다. 보통 이러한 초소성 재료의 성형 공정은 대변형을 갖는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해석된다. 본 연구는 이러한 초소성 재료의 성형 공정을 해석함으로써, 고부가 가치를 갖는 초소성 재료의 성형 공정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나아가 성형 공정 설계 및 생산에 유기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.
Objective
- 연속체 요소를 사용한 최적 펀치 속도와 최적 압력의 제어
- 박막 요소를 사용한 최적 압력의 제어
- 최종 형상 및 제품의 두께 분포 예측
Contents
- 연속체 요소를 사용한 반구형 펀치 성형 공정 해석
- 연속체 요소를 사용한 원통형, 원뿔형, cap형 컵의 압력 성형 공정 해석
- 박막 요소를 사용한 원통형 및 사각컵의 압력 성형 공정 해석
- 8090 SPF Al-Li합금의 물성치 실험
Results
- Cap bulging forming의 변형 형상 비교

- 사각 컵의 압력 성형 공정 해석 결과 비교

<중간 단계의 변형 형상>

< 최종 변형 형상 >
Author
이기석(졸업생)
초소성 재료의 성형은 낮은 유동 응력하에서 보통 200%가 넘는 연신율을 갖고 굽힘 변형도 잘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기하학적 비선형성이 심한 공정이다. 보통 이러한 초소성 재료의 성형 공정은 대변형을 갖는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해석된다. 본 연구는 이러한 초소성 재료의 성형 공정을 해석함으로써, 고부가 가치를 갖는 초소성 재료의 성형 공정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나아가 성형 공정 설계 및 생산에 유기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.
Objective
- 연속체 요소를 사용한 최적 펀치 속도와 최적 압력의 제어
- 박막 요소를 사용한 최적 압력의 제어
- 최종 형상 및 제품의 두께 분포 예측
Contents
- 연속체 요소를 사용한 반구형 펀치 성형 공정 해석
- 연속체 요소를 사용한 원통형, 원뿔형, cap형 컵의 압력 성형 공정 해석
- 박막 요소를 사용한 원통형 및 사각컵의 압력 성형 공정 해석
- 8090 SPF Al-Li합금의 물성치 실험
Results
- Cap bulging forming의 변형 형상 비교

- 사각 컵의 압력 성형 공정 해석 결과 비교

<중간 단계의 변형 형상>

< 최종 변형 형상 >
Author
이기석(졸업생)